본문 바로가기

Study/기사자격증12

실내건축기사 - 슈브, 배색, 그라데이션 - 슈브 (M. E, Chevreul : 1786~1889) 17세 때 천연색소를 연구하고, 이어서 동물성지방의 연구를 시작하였다. 뛰어난 분석기술로 1810년부터 13년간 연구한 성과는 유지(1611t)의 근 대적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또 1813년에 최초의 연구로 비누가 산(1%) 에 의해 여러 가지 지방산으로 변하는 사실을 발견하여 결국 지방이 지 방산과 글리세롤로 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올레인산,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의 명명도 그에 의한 것이다. 1824년에는 유명한 고블랭 염직공 장의 염색주임이 되어 염료와 색채대조법을 연구하였는데, 이것은 공업 뿐만 아니라 신인상파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염색기술을 직접 체험하면 서 조화의 기초이론을 정립하게 되었다. 색채의 3속성 개념을 도입한 색상환에서 .. 2023. 3. 31.
실내건축기사 - 지각현상, 색체조화 지각 현상 1. 시인성(7521보) (1) 명시성 ① 색의 주위의 색과 얼마나 구별이 잘 되느냐에 따라 잘 보이는 색과 잘 보이지 않는 색이 있기 마련이다. 두 색의 밝기 차이에 따라서 멀리서 도 식별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얼마 만큼 색이 눈에 잘 띄는가 에 대한 성질을 명시성 또는 가시성이라 하며, 그 정도에 따라 가시도 가 높거나 낮다. ② 명시성은 그 색 고유의 특성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배경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③ 검정색 배경일때는 노란, 주황이 명시도가 높고, 자주, 파랑 등은 낮으 며, 흰색 배경일때는 이와 반대이다. 유채색끼리일 때는 노랑, 주황과 파랑, 자주와의 관계가 명시도가 높다. ④ 명시도를 높이는 결정적인 조건은 명도의 차를 크게 하는 것이다. ※ 명시성이 높은.. 2023. 3. 31.
실내건축기사 - 색의 감각 1 색의 감각 1. 동시대비(Contrast) 현상 두 색 이상을 동시에 볼 때 일어나는 대비 현상으로 색상의 명도가 다를 때 구별되는 정도이다. 동시 대비에는 색상대비, 명도대비, 채도대비, 보색대비 등이 있다. 예 인접한 색이나 혹 향으로 먼저 본 색이 르게 보이는 현상은 ① 연상작용 ③ 대비현상 ① 색상대비(Hue Contrast)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동시에 볼 때 각 색상의 차이가 실제의 색과는 달라보이는 현상 ④ 배경이 되는 색이나 근접색의 보색 잔상의 영향으로 색상이 몇 단계 이동된 느낌을 받는다. ① 보색대비 ③ 명도대비 빨간 바탕위의 주황색은 노란색의 느낌이, 노란색 바탕위의 주황색 은 빨간색의 느낌이 난다. 라 무채색의 대비, 유채색의 대비, 무채색과 유채색의 대비가 일어나지 예 R과 .. 2023. 3. 31.
실내건축기사 - 색의 표시 방법, 대비 현상 색의 표시 방법 색채계 1. 색의 표시(표색) ① 혼색계(color mixing system) 간 색(Colar of Light)을 표시하는 표색계로서 심리적, 물리적인 병치 의 혼색 실험에 기초를 두는 것으로서 현재 측색학의 기본이 되고 있다. ④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CIE 표준 표색계(xYZ 표색계)가 가장 대표적 인 것이다. ② 현색계(color appearance system) ⑦ 색채(물체색, Color)를 표시하는 표색계로서 특정의 착색물체, 즉 색 표로서 물체 표준을 정하여 여기에 적당한 번호나 기호를 붙여서 시 료 물체의 색채와 비교에 의하여 물체의 색채를 표시하는 체계이다. ④ 현색계의 가장 대표적인 표색계는 먼셀 표색계와 오스트발트 표색계 이다. 2. 먼셀(Munsell)의 표색계 ①.. 2023. 3. 31.